In my U.S. experience, every person asks me, "Oh, this is a little bit spicy, but you came from South Korea; I'm sure you are OK. " Sure, I like spicy food really much. However, we have yet to learn about every South Korean people's taste type. In Yummirific data, we collected 3,397 people's taste preference data with 40 survey questions. Fortunately, we covered that "SPICY." Our question number 8 aligns with "SPICY." "I like spicy food." So, I analyzed 3,397 people's responded data related to basic tasty preferences, Sour, Bitter, Salty, Sweety, and "SPICY. Here are some fun facts about it.
지역 사회 사회적 자본의 측정 및 형성요인 분석 연구
A Study of Measuring And Analysing Determinants of Social Capital in Local Community
(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윤식 · 박인권
Choung, Yun Sik · Park, In Kwon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determinants and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use of Local Indicators and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The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26 data elements in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004, was measured in the three concepts of Social trust (SC1), Institutions and norms (SC2), Social participations and networks(SC3). The determinants of measured social capital classified by individual and local level, and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age, number of close neighbors and concern for politics appeared to be a factor of the increase in the SC1, and frequency of political discussion appeared to a negative factor. Secondly, individual variables like gender, age, personal networks, concern of politics, frequency of political discussion, appeared to be increasing factor of SC2. In local level, rural characteristics affected positively on SC1 and SC2. But, variance component of local level intercept was not significant in SC3 model. SC3 was affected by occupational variables and personal networks in the individual level.
키워드 : 사회적 자본, 형성요인, 한국종합사회조사,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선형모형
Keywords : social capital, determinant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
국문 요약본
최근 사회적 경제 주체와 시민사회의 다양한 활동이 지역 사회의 경제·문화 발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 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사회적 기업, 마을공동체, 협동조합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조직이 증가하고 있으 며 이를 지원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협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부문이 주목을 받으면서 사회적 자본과 이러한 사회적 부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러나 사회적 자본은 그 특성상 측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전국의 모든 지역을 같은 기준으로 동일하게 측정 하는 것 자체가 매우 난해하다.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회적 자본의 측정 지표와 측정 방법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우리나라 전체 또는 특정 지역 대상의 설문조사 에 기반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기 수행된 연구결과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서베이리서치센터에서 매년 전국을 대상 으로 실시하고 있는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자료를 기반으로 사회적 자본의 측정을 시도하고 측정된 사 회적 자본의 형성 요인으로서 설문에 응답한 개인적 특성과 지역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측정 자료로는 한국종합사회조사 2004년도 설문조사 자료 1312개 표본 중 1062개 표본 이 사용되었으며, 1차 확인적요인분석(CFA)을 통해 사회적 제도 신뢰, 정부 지도층 신뢰, 지역사회 지도층 신뢰, 사회적 가치 및 규범, 시민사회 지도층 신뢰, 지역 및 가족에 대한 지원, 사회 및 제도 참여, 지역사 회참여의 8가지의 잠재변수를 측정하였다. 이로부터 다시 2차적으로 사회적 자본의 세 유형에 관한 잠재 변수, 즉 정부·제도·권위에 대한 신뢰(SC1)와, 시민사회의 가치 및 규범(SC2), 사회적 참여와 네트워크 (SC3)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사회적 자본의 측정 변수는 개인적 특성변수와 상관관계분석을 시행 하고, 83개 시·군·구로 통합하여 지역특성과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정부·제도·권 위에 대한 신뢰(SC1)는 고령인구 비율이 높고 인구규모가 작은 지역에서 높고, 개인 특성 중에서는 연령 과 상관성이 크게 나타났다. 시민사회의 가치 및 규범(SC2)은 지역사회의 특성과는 상관이 없으며 연령 및 교육년수와 양의 상관성 보여주고,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참여와 네트워크 (SC3)도 도시지역보다는 주로 농어촌 지방도시지역의 특성과 관련이 높고 개인적 특성 중 연령, 교육년수, 월평균 가구소득과 양의 상관관계를 지니며, 남성과 취업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mments
Post a Comment